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

신분당선 요금, 노선도, 연장노선(용산, 서북부, 호매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재 운행중인 신분당선에 대한 노선도와 요금에 알려드립니다. 그리고 착공 준비중인 신사역~용산역 노선, 연장 노선인 광교~호매실 노선과 용산~삼송 노선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운행노선 : 신사역 ~ 광교역 신분당선은 민자사업으로 지어져 운행되는 지하철로, 현재 신사역~광교역까지 운행하고 있습니다. 2011년 강남~정자 구간 운행이 시작되었고, 2016년엔 정자~광교 구간이 운행을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신분당선 1차 연장구간인 신사~강남 연장노선이 2022년 5월부터 운행하고 있습니다. 신분당선 이용요금 신분당선은 3단계로 연장되다 보니 요금체계가 복잡한데요. 요금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운임 할인혜택, 정기권 등의 내용은 해당사 홈페이지 링크를 걸어두니, 방문해 보세요.. 2023. 5. 6.
동북선 26년 7월 개통예정(노선도, 서울 동북권 교통 호재) 오늘은 왕십리에서 노원구 상계역까지(총 26분 소요) 이어지는 동북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북선은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경전철 사업으로, 2019년 착공 및 2026년 7월 개통 예정입니다. 서울 동북권에서 왕십리역 환승을 통해 강남과 분당, 용인, 수원까지 갈 수 있는 지하철입니다. 사업개요 명 칭 : 동북선 도시철도(경전철) 위 치 : 왕십리(2,5호선, 분당선, 경의중앙선)~제기동역(1호선)~고려대(6호선)~미아사거리(4호선)~월계(1호선)~하계(7호선)~상계역(4호선) 규 모 : 연장 13.4km, 정거장 16개소, 차량기지 1개소 시 행 자 : ㈜동북선도시철도 총사업비 : 1조 4,361억 원 사업방식 : 수익형 민자사업(BTO), 운영기간 30년 추진 경위 2008. 11. 21. 서울시 1.. 2023. 5. 2.
위례트램 착공(위례선, 25년 9월 개통, 노선도, 트랜짓 몰) 우리나라에 현대식 트램(Tram)이 첫 삽을 떴습니다. 위례 트램의 정식 명칭은 ‘위례선’이며, 위례신도시 조성에 따라 위례 내부를 관통하는 경전철입니다. 트램은 지하가 아닌 도로 위에 깔린 레일을 주행하는 교통수단입니다. 유럽이나 북미에서 주 교통수단으로 사용되는 트램이 우리나라에도 건설됩니다. 사실 1968년까지는 서울과 부산에 노면전차가 있었지만, 자동차 운행에 방해되어 사라졌다가 위례신도시 “트랜짓 몰” 내에 신교통수단으로 도입되었습니다. 위례선의 개통 예정 시기는 2025년 9월입니다. 사업개요 위 치 : 위례신도시 마천역~복정역, 남위례역 지선 규 모 : 연장 5.4㎞, 정거장 12개소, 차량기지 1개소 사업기간 : 2019~2025년 총사업비 : 2,614억 원 참고로 2,614억 원의 사업.. 2023. 4. 26.
위례신사선 총정리(노선, 개통시기, 위례삼동선) 위례신사선은 위례신도시에서 강남, 삼성을 거쳐 신사역까지 총 11개(환승 6개)의 정거장을 건설하는 서울시의 경전철 사업입니다. 민간투자사업(민자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2023년 4월 현재 우선협상자인 강남메트로(주)(GS건설 컨소시엄) 측과 주무관청인 서울시가 실무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금년 3월 실시협약(안)이 행정예고 되었습니다. 올해 실시협약이 체결되고 내년(2024)쯤 실시계획이 승인되면, 5년의 공사기간을 거쳐 2029~30년쯤 개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업개요 명 칭 : 위례신사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규 모 : 14.8km(정거장 11개소, 차량기지 1개소) - 위례신도시~가락시장역(3, 8호선) ~ 학여울역(3호선) ~ 삼성역(2호선) ~ 봉은사역(9호선) ~ 청담역.. 2023. 4. 23.
제2경인선 광역철도 진행현황 총정리(구로차량기지 이전사업 포함) 제2경인선은 인천 '청학'에서 광명시 '노온사'를 연결하는 광역철도 건설사업입니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7)에 신규로 반영된 사업으로서, 간단한 사업개요는 아래와 같습니다. 노 선 명 : 제2경인선 사업구간 : 청학(인천)~노온사(광명) 연 장 : 21.9㎞ 총사업비 : 1조 6,879억 원 ※ 연결노선 (인천~청학) : 수인선 공용 (송도역~연수역 사이 역사 신설) (광명∼구로, 9.4km) : 구로차량기지 이전 노선 공용 (구로∼노량진, 7.3km) : 경인선 공용 추진 배경 : 지자체의 합작품 인천 남부지역은 철도를 통한 서울로의 접근성이 좋지 않은 지역입니다. 수인선, 인천1호선 등을 통해 경인선을 갈아타야만 서울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시흥 은계지역은 서해선(소사원시선)과의 거리가.. 2023. 4. 21.
구로차량기지 이전사업(타당성조사, 광명시, 제2경인선) 구로차량기지 이전사업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 있는 철도차량기지를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으로 옮기는 정부의 철도사업입니다. 구로구의 오랜 숙원사업이면서, 광명시가 절대적으로 반대하는 사업입니다. 구로차량기지 이전사업의 타당성조사 결과 발표가 곧 임박했다는 소식이 있습니다. 이에, 구로차량기지 이전사업에 대하여 알아보고, 향후 이전사업의 향방에 관해서도 판단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간단한 사업개요부터 알려드립니다. 사업명 : 구로차량기지 이전사업 위 치 :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 685번지 일대 면 적 : 253,224㎡(이전대상 면적 : 152,667㎡) 내 용: 철도차량기지 이전(구로동→광명시 노온사동) - 입출고선 9.46㎞(복선전철), 정거장 3개소, 신규 차량기지 건설 281,931㎡ 구로차.. 2023. 4. 19.
서부선 철도 총정리(노선, 개통시기, 차량기지, 고양은평선) 서부선은 6호선 새절역에서 2호선 서울대입구역까지 총 16개의 정류장(환승 6개)을 건설하는 서울시의 경전철 사업입니다. 민간투자사업(민자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2023년 4월 현재 우선협상자인 두산건설 측과 서울시(주무관청)가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협상이 완료되고 두산건설이 사업시행자로 지정이 되면 올해 실시협약을 거쳐 2029년쯤 개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명 칭 : 서부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규 모 : 15.632km(정거장 16개소, 차량기지 1개소) 서울시 은평구 새절역(6호선)~관악구 서울대입구역 개통시기 : 2029년 예정(공사기간 6년) 우선협상자 : (가칭) 서부도시철도주식회사 사 업 비 : 1조 5,203억 원(2016년 기준, 불변가) 사업방식 : BTO-Risk Shar.. 2023. 4. 18.
신안산선 철도사업(노선, 25년개통, 대심도, 향남 연장) 신안산선 철도에 대해 노선, 개통시기, 대심도, 향남연장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사업의 정식명칭은 “신안산선 복선전철 민간투자사업”입니다. 우리나라 최초로 도심지 내 대심도로 건설되는 철도입니다. ‘복선’이란 전철 선로가 2개로 양방향 운행한다는 뜻입니다. ‘민간투자사업’은 국가(국가철도공단 등)가 시행자가 되어 정부 재정으로 하는 사업이 아닌, 민간자본으로 건설한다는 뜻입니다. 명 칭 : 신안산선 복선전철 민간투자사업 규 모 : 건설 44.9km(정거장 19개소, 차량기지 1개소) 경기도 화성시 서종면 문호리 ~ 영등포구 여의도동 개통시기 : 2025년 4월 목표(1구간 기준) 시 행 자 : 넥스트레인 주식회사 사 업 비 : 3조 3,645억원(2013. 12 불변가) 사업방식 : BTO-Risk Shar.. 2023.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