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개념/철도

서부선 철도 총정리(노선, 개통시기, 차량기지, 고양은평선)

by 도시박사 최팀장 2023. 4. 18.
반응형

 

서부선은 6호선 새절역에서 2호선 서울대입구역까지 총 16개의 정류장(환승 6개)을 건설하는 서울시의 경전철 사업입니다. 
민간투자사업(민자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2023년 4월 현재 우선협상자인 두산건설 측과 서울시(주무관청)가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협상이 완료되고 두산건설이 사업시행자로 지정이 되면 올해 실시협약을 거쳐 2029년쯤 개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명    칭 : 서부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 규    모 : 15.632km(정거장 16개소, 차량기지 1개소)
  • 서울시 은평구 새절역(6호선)~관악구 서울대입구역
  • 개통시기 : 2029년 예정(공사기간 6년)
  • 우선협상자 : (가칭) 서부도시철도주식회사
  • 사 업 비 : 1조 5,203억 원(2016년 기준, 불변가)
  • 사업방식 : BTO-Risk Sharing(위험분담형), 민자 운영 기간 30년

 

세부적인 노선도와 차량기지, 서부선 연장에 대한 이슈도 알아보겠습니다.

 

 

○ 노선도

6호선 새절역에서 2호선 서울대입구역까지 16개 정거장이 건설됩니다.

기존 지하철이 없던 서대문구 연희동, 동작구 상도동, 관악구 은천동 일대 교통이 개선되어 이 지역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부선 도시철도 노선도
서부선 노선도

환승역(새절, 신촌‧서강대, 광흥창, 동여의도, 노량진, 장승배기, 서울대입구)은 역명을 그대로 사용하고,

나머지 역들은 개통 시점에 ‘역명선정위원회’를 통해 정확한 명칭을 확정을 짓습니다.

○  운영계획

  • 속도 : 70㎞/h, 최고속도는 80㎞/h
  • 차량 : 경전철 3량
  • 정원 : 좌석 18명, 입석 : 34명
  • 간격 : 완행, 급행 6분

서부선 차량제원
차량 제원

 

경전철 3량이 6분 간격으로 운행됩니다.

AGT고무차륜으로 건설되어 일반차량에 비해 소음도 확연히 저감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추진단계

 

서부선은 민자사업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주무관청인 서울특별시와 우선협상대상자인 두산건설 컨소시엄(가칭 서부경전철주식회사) 측이 협상을 벌이고 있습니다. 


아래에는 민간투자사업 절차이고, 현재 7단계(실시협약  체결)를 준비하고 있는 과정입니다.

 

민간투자사업 추진절차
민간투자사업 추진절차 (출처 : KDI)


다만, 실시협약 체결 전에 몇 가지 행정절차를 더 거쳐야 합니다.

먼저 서울시는 실시협약(안)을 ‘서울특별시 민간투자사업에 관한 기본 조례’에 따라 20일 이상 행정예고 하여야 합니다.
그다음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와 서울시의회 보고를 마친 뒤, 실시협약 체결이 가능합니다.

실시협약을 체결하면, 우선협상자인 두산건설 측은 비로소 사업시행자 지위를 부여받게 됩니다.


이후 사업의 세부 내용이 담긴 실시계획 승인신청서를 서울시에 제출하여 실시계획 승인을 받으면 비로소 착공에 들어갑니다. 

공사기간이 6년인 점을 고려하면, 2024년 착공, 2029년 준공하고 대략 2030년경 개통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  차량기지 이슈

 

2021년 서울시에서 수립한 제2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에서 서부선 차량기지는 여의도 하부에 있는 샛강 주차장으로 계획되었습니다. 

서부선 차량기지 최초 위치
서부선 차량기지 (출처 : 제2차 서울특별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상대적으로 부지활용도가 낮은 곳이고, 보상비 최소화 및 민원 발생 요인이 적어 이곳으로 결정한 것입니다.


그러나, 둔치는 홍수시에 물이 차는 곳입니다.

하천부지 지하에 차량기지를 건설하면, 구조물에 무리가 갈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철도시설에 부담을 줄 수 있어서 샛강 주차장은 차량기지로 적합한 곳이 아닙니다.

그래서 2022년 7월 발표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에는 차량기지의 위치가 바뀐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동작구 노량진동에 있는 수도자재관리센터부지 지하로 바뀌었습니다. 이곳은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상수도 자재 보관소입니다. 

서부선 차량기지 변경 위치
출처 : 서부선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

 

당초 차량기지 위치로 수도자재센터부지가 검토는 되었으나, 자재센터 이전이 쉽지 않아 차량기지 위치로 선정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2022년 6월 서울시에서 ‘한강철교남단 저이용 부지 지구단위계획(안)’을 발표하였고,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수협부지 개발과 함께 수도자재센터를 이전하는 것으로 계획을 세웠습니다.

 

한강철교남단 저이용부지 개발 계획(안)
출처 : 한강철교남단 저이용부지 지구단위계획(안)_서울시청


제일 좌측에 한강철교 오른쪽이 현재 수도자재센터가 있는 위치입니다.

이곳은 수변문화복합시설을 개발하는 것으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현재 수도자재센터 이전을 위한 설계를 시행하고 있고, 지하에 차량기지 위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동작구에서는 서부선 차량기지가 들어오는 것을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있는 처지입니다. 2022년 12월 동작구의회에서 서울시 및 관계기관으로 보낸 반대 공문입니다.

 

서부선 차량기지 반대 공문
동작구의회 공문

 



또한, 차량기지와 ‘PF’(자금조달)이 착공의 최대 변수라는 기사도 보입니다.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303011345027910903





○  고양은평선 연장


2021년 6월 발표한 제4차 구축계획에 ‘고양은평선’으로 최종 확정이 되었습니다. 

3기 신도시인 고양시 창릉신도시 광역교통 대책의 하나로 추진되며, 새절역에서 고양시청까지 총연장 13.9㎞, 사업비 1조 4,100억 원이 투입되는 사업입니다.

고양은평선 노선도(국가철도망 구축계획)고양은평선 기본계획 노선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확 / 고양은평선 기본계획 착수 보도기사 (출처 : 국토교통부)

2022년 6. 8 자 국토교통부 보도자료를 보면, 경기도에서 고양은평선 광역철도 기본계획을 시행하고, 2023년 하반기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기본계획을 승인합니다.


이후, 기본 및 실시설계를 거쳐 사업계획을 승인하면 지하철 착공에 들어갑니다.

2023년 하반기 기본계획을 발표하면 세부 노선, 차량 시설 규모, 사업비 분담내역, 운행계획과 개통시기가 개략적으로 나옵니다. 

 

 

 

○  서울대학교 연장


제2차 서울특별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서부선 남부 연장 노선이 포함되었습니다.
2호선 서울대입구역에서 서울대학교 교차로까지 1.72㎞를 총사업비 1,330억 원에 건설하는 사업입니다. 정거장은 1개소 신설됩니다.

서부선 남부연장 노선도
출처 : 제2차 서울특별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다만, 현재까지 이 노선을 서울시 재정사업으로 추진하겠다든지 또는 민자사업 제안이 들어왔다든지 하는 구체적인 사업계획은 없습니다.

 

그리고 서울대입구역까지 이미 개통한 신림선과 연계계획도 없습니다.

민자사업자가 각기 달라서 같이 운영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외에도 경기도 과천시, 경기도 고양시 등이 서부선 추가 연장 계획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되어야 하고, 반영되더라도 실제 개통까지는 15년 이상이 소요되는 장기적인 계획들입니다.

 

제 블로그는 최대한 뇌피셜은 자제하고, 국토교통부나 광역지자체의 기본계획과 보도기사를 편집해서 최대한 객관적으로 사실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  마무리


서부선은 서울 서부와 남부를 잇는 경전철 사업입니다.

 

2029년경 사업이 완료되면 그간 지하철에서 소외되었던 은평구, 서대문구, 동작구, 관악구 일대의 도심지 진입이 수월해집니다. 

신규 역세권이 생기면, 유동 인구가 늘어나고 역세권 일대 신규 지구단위계획과 정비계획(재개발, 재건축)이 수립되어 도시의 개발압력이 늘어나게 됩니다.

또한 고양 창릉신도시, 고양시청 등으로 연장이 확정되어 2030년대에 개통되면, 경기도 고양시의 광역교통이 개선됩니다.

 

앞으로 서부선 실시협약, 고양은평선 기본계획 등의 소식이 있으면 추가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사업 추진경위

2001. 12. 수도권 광역교통망 계획 포함(건설교통부)
2008. 8. 최초 제안(새절~장승배기 구간)_두산건설
2009.10. 민자적경성 통과(KDI 공공투자관리센터_
2013. 7. 서울시, 도시철도 기본계획 변경(새절~서울대입구역)
2015. 6.  국토부, 도시철도 기본계획 변경 승인
2017. 2. 서부선 민간투자사업 변경제안(가칭 서부경전철주식회사)
2020. 6.~12. 민자적격성조사 완료(BC 1.05) / 민간투자사업 제3자 제안공고
2021. 4.~5. 사업제안서 제출 /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2021. 9. ~ 실시협약 추진 중

 

 


 

 

제 블로그에는 또다른 서울시 경전철 사업이 있으니, 한번 둘러봐 주시기 바랍니다.

대표적으로 동북선 도시철도사업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읽어봐 주세요.

 

https://ypretzel.com/34

 

동북선 26년 7월 개통예정(노선도, 서울 동북권 교통 호재)

오늘은 왕십리에서 노원구 상계역까지(총 26분 소요) 이어지는 동북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북선은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경전철 사업으로, 2019년 착공 및 2026년 7월 개통 예정입니다. 서울

ypretzel.com

 

 

 

 

댓글